본문 바로가기
KBO 한국프로야구

이닝당 출루허용률(WHIP, Walks plus Hits per Inning Pitched)이란?

by roknavy468 2025. 4. 2.

WHIP

이닝당 출루허용률(WHIP, Walks plus Hits per Inning Pitched)은 야구에서 투수의 성적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로, 투수가 한 이닝 동안 허용하는 출루(안타 + 볼넷)의 평균 개수를 나타냅니다. WHIP는 투수의 제구력과 피안타 허용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1. WHIP 계산 공식

WHIP

  • BB (Base on Balls): 볼넷(4구) 허용 개수
  • H (Hits): 피안타 개수
  • IP (Innings Pitched): 투구 이닝 수

2. WHIP의 의미

  • WHIP가 낮을수록 투수가 상대 타자들을 잘 막고 출루를 적게 허용한다는 의미입니다.
  • 일반적으로 1.00 이하이면 최고 수준의 투수이며, 1.10~1.30은 평균적인 수준, 1.50 이상이면 출루 허용이 많은 투수로 평가됩니다.

3. WHIP의 특징

  1. 투수의 컨트롤과 피안타율 반영
    • 볼넷(BB)과 안타(H)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단순한 방어율(ERA)보다 투수의 경기 운영 능력을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2. 수비 무관
    • WHIP는 수비 실책으로 인한 출루(실책으로 인한 출루는 공식 기록상 출루가 아님)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투수 본인의 능력을 더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3. 선발 및 불펜 투수 비교 가능
    • 선발 투수와 불펜 투수 모두 동일한 기준(이닝당 출루 허용률)으로 평가할 수 있어 객관적인 지표가 됩니다.

4. WHIP의 한계

  • WHIP는 실점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병살타나 도루 저지 등의 경기 상황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 볼넷과 안타를 동일한 가치로 평가하기 때문에, 피안타율이 높은 투수와 볼넷을 많이 허용하는 투수를 같은 수준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5. WHIP와 다른 지표 비교

WHIP와 다른 지표 비교

지표 설명 주요 차이점
WHIP 이닝당 출루 허용률 안타+볼넷만 고려, 출루 관리 능력 평가
ERA 평균 자책점 실점 중심, 경기당 허용 실점률 반영
FIP 수비 무관 평균자책점 홈런, 볼넷, 탈삼진 중심으로 평가
OBP 출루율 (타자 지표) 타자가 출루하는 비율 (볼넷 포함)

6. WHIP 예시 계산

예를 들어, 어떤 투수가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피안타 (H): 150개
  • 볼넷 (BB): 50개
  • 투구 이닝 (IP): 200이닝

WHIP 계산:

WHIP

이 투수의 WHIP는 1.00으로, 리그 정상급 수준의 기록입니다.

7. WHIP의 이상적인 기준

일반적으로 투수들의 WHIP 수준은 다음과 같이 평가됩니다.

WHIP의 이상적인 기준

WHIP 범위 평가
1.00 이하 리그 최고 수준
1.10~1.20 우수한 투수
1.20~1.30 평균 수준
1.30~1.50 다소 아쉬운 투수
1.50 이상 출루 허용이 많은 투수

8. WHIP를 활용한 분석

  • 선발 투수: 선발 투수의 경우 WHIP가 낮다면 매 이닝 안정적으로 출루를 허용하지 않으며, 상대 타선에 위기를 적게 제공한다는 의미입니다.
  • 불펜 투수: 불펜 투수는 짧은 이닝을 던지므로 WHIP가 다소 높을 수 있으나, 경기 후반 위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삼진형 투수 vs. 컨택형 투수: 삼진을 많이 잡는 투수는 WHIP가 낮은 경향이 있지만, 컨택형 투수(맞혀 잡는 스타일)의 경우 WHIP가 높더라도 병살 유도 능력이 뛰어나면 효과적인 투수가 될 수 있습니다.

🔹 결론

WHIP는 투수의 경기 운영 능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출루 허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ERA(평균 자책점)과 함께 보면 투수의 실점 관리 능력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