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닝당 출루허용률(WHIP, Walks plus Hits per Inning Pitched)은 야구에서 투수의 성적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로, 투수가 한 이닝 동안 허용하는 출루(안타 + 볼넷)의 평균 개수를 나타냅니다. WHIP는 투수의 제구력과 피안타 허용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1. WHIP 계산 공식
- BB (Base on Balls): 볼넷(4구) 허용 개수
- H (Hits): 피안타 개수
- IP (Innings Pitched): 투구 이닝 수
2. WHIP의 의미
- WHIP가 낮을수록 투수가 상대 타자들을 잘 막고 출루를 적게 허용한다는 의미입니다.
- 일반적으로 1.00 이하이면 최고 수준의 투수이며, 1.10~1.30은 평균적인 수준, 1.50 이상이면 출루 허용이 많은 투수로 평가됩니다.
3. WHIP의 특징
- 투수의 컨트롤과 피안타율 반영
- 볼넷(BB)과 안타(H)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단순한 방어율(ERA)보다 투수의 경기 운영 능력을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 수비 무관
- WHIP는 수비 실책으로 인한 출루(실책으로 인한 출루는 공식 기록상 출루가 아님)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투수 본인의 능력을 더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선발 및 불펜 투수 비교 가능
- 선발 투수와 불펜 투수 모두 동일한 기준(이닝당 출루 허용률)으로 평가할 수 있어 객관적인 지표가 됩니다.
4. WHIP의 한계
- WHIP는 실점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병살타나 도루 저지 등의 경기 상황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 볼넷과 안타를 동일한 가치로 평가하기 때문에, 피안타율이 높은 투수와 볼넷을 많이 허용하는 투수를 같은 수준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5. WHIP와 다른 지표 비교
WHIP와 다른 지표 비교 |
||
지표 | 설명 | 주요 차이점 |
WHIP | 이닝당 출루 허용률 | 안타+볼넷만 고려, 출루 관리 능력 평가 |
ERA | 평균 자책점 | 실점 중심, 경기당 허용 실점률 반영 |
FIP | 수비 무관 평균자책점 | 홈런, 볼넷, 탈삼진 중심으로 평가 |
OBP | 출루율 (타자 지표) | 타자가 출루하는 비율 (볼넷 포함) |
6. WHIP 예시 계산
예를 들어, 어떤 투수가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피안타 (H): 150개
- 볼넷 (BB): 50개
- 투구 이닝 (IP): 200이닝
WHIP 계산:
이 투수의 WHIP는 1.00으로, 리그 정상급 수준의 기록입니다.
7. WHIP의 이상적인 기준
일반적으로 투수들의 WHIP 수준은 다음과 같이 평가됩니다.
WHIP의 이상적인 기준 |
|
WHIP 범위 | 평가 |
1.00 이하 | 리그 최고 수준 |
1.10~1.20 | 우수한 투수 |
1.20~1.30 | 평균 수준 |
1.30~1.50 | 다소 아쉬운 투수 |
1.50 이상 | 출루 허용이 많은 투수 |
8. WHIP를 활용한 분석
- 선발 투수: 선발 투수의 경우 WHIP가 낮다면 매 이닝 안정적으로 출루를 허용하지 않으며, 상대 타선에 위기를 적게 제공한다는 의미입니다.
- 불펜 투수: 불펜 투수는 짧은 이닝을 던지므로 WHIP가 다소 높을 수 있으나, 경기 후반 위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삼진형 투수 vs. 컨택형 투수: 삼진을 많이 잡는 투수는 WHIP가 낮은 경향이 있지만, 컨택형 투수(맞혀 잡는 스타일)의 경우 WHIP가 높더라도 병살 유도 능력이 뛰어나면 효과적인 투수가 될 수 있습니다.
🔹 결론
WHIP는 투수의 경기 운영 능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출루 허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ERA(평균 자책점)과 함께 보면 투수의 실점 관리 능력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KBO 한국프로야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수의 디셉션(Deception)이란? (0) | 2025.04.02 |
---|---|
창원NC파크 구조물(루버) 추락 사건 (2) | 2025.04.02 |
본헤드 플레이(Bonehead Play)란? (0) | 2025.04.01 |
프로야구에서 4구, 사구, 사사구의 차이점은? (0) | 2025.04.01 |
퀄리티스타트(QS)와 퀄리티스타트+(QS+)란?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