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52 한국프로야구(KBO) 역사상 통산 몸에 맞는 볼(사구)을 가장 많이 기록한 선수는? 한국프로야구(KBO) 역사상 통산 몸에 맞는 볼(사구)을 가장 많이 기록한 선수 TOP 10은 다음과 같습니다통산 사구 TOP10 선수순위선수명소속팀 (은퇴 시점 기준)통산 사구 수1최정SSG 랜더스328개2박석민NC 다이노스212개3나지완KIA 타이거즈181개4이대호롯데 자이언츠179개5박경완SK 와이번스166개6양의지두산 베어스163개7박종호LG 트윈스161개8강민호삼성 라이온즈154개9김한수삼성 라이온즈148개10김동주두산 베어스147개 이 중 최정 선수는 328개의 사구를 기록하며 2위와 큰 격차로 선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세계 기록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또한, 박종호 선수는 1999년 한 시즌에 31개의 사구를 기록하며 한 시즌 최다 사구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록들은 선수.. 2025. 4. 8. "야구는 투수놀음이다"라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야구에서 "야구는 투수놀음이다"라는 말은 아주 오래된 격언이자, 야구의 본질을 잘 요약한 표현이에요. 이 말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경기의 흐름을 투수가 지배한다모든 플레이는 투수의 투구에서 시작돼요.타자는 투수가 던지는 공에 반응하는 입장이죠.투수가 잘 던지면 아무리 강타자라도 무력해질 수 있어요.즉, 투수가 잘하면 타자는 아무것도 못 한다는 뜻이에요.⚾️ 2. 점수를 내는 건 어려워도, 막는 건 더 쉬울 수 있다공격(타격)은 성공률이 30%만 돼도 ‘훌륭’하다고 하잖아요.그만큼 득점은 어렵고, 실점을 줄이는 쪽이 유리한 게임이라는 거예요.좋은 투수는 12점만 줘도 경기를 지배할 수 있어요.반면, 타자는 34타수에 1안타가 보통이라 공격적인 연속성 확보가 힘들죠.⚾️ 3. 단기전 = 투수싸.. 2025. 4. 8. 타격 생산 능력이란? 타자들의 타격 생산 능력은 야구에서 타자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공격에 기여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단순히 안타를 많이 치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으로 점수를 만들어내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다양한 지표들이 있습니다. 아래에 주요 개념들과 함께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1. 기본적인 타격 지표① 타율 (AVG, Batting Average)계산식: 안타 / 타수의미: 타자가 얼마나 자주 안타를 치는지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볼넷이나 희생플라이 등은 포함되지 않아 한계가 있습니다.② 출루율 (OBP, On-base Percentage)계산식: (안타 + 볼넷 + 사구) / (타수 + 볼넷 + 사구 + 희생플라이)의미: 타자가 얼마나 자주 출루하는지를 나타냅니다. 팀 공격에 매우 중요한 .. 2025. 4. 8. "피타고리안 승률(Pythagorean Winning Percentage)"이란 무엇인가? 야구에서 "피타고리안 승률(Pythagorean Winning Percentage)"은 팀의 실력을 예측하거나 평가할 때 쓰이는 통계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실제 승률이 아닌, 팀이 얼마나 "이겨야 했는가"를 계산하는 이론적인 승률입니다. 이름은 수학자 피타고라스에서 따왔지만, 실제로는 통계학자이자 야구 애널리스트인 빌 제임스(Bill James) 가 고안한 것입니다.✅ 1. 기본 개념피타고리안 승률은 다음과 같은 가정에서 출발합니다:팀이 득점(Runs Scored, RS)을 많이 하고, 실점(Runs Allowed, RA)을 적게 할수록 더 많이 승리할 것이다.그래서 이 두 값을 기반으로 팀이 이겼어야 할 승률을 계산합니다.✅ 2. 기본 공식가장 기본적인 피타고리안 승률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RS: .. 2025. 4. 8. 타자 입장에서 구위형 vs 피네스형 투수를 상대할 때의 차이점 이번에는 타자 입장에서 구위형 vs 피네스형 투수를 상대할 때의 차이점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타자들이 이 두 유형의 투수를 대할 때는 생각하는 방식, 준비 자세, 반응 속도까지 완전히 달라져야 합니다.⚾ 타자 입장에서의 차이점타자 입장에서의 차이점항목구위형 투수피네스형 투수🎯 대응 전략빠른 반응과 빠른 스윙 준비가 핵심타이밍 조절과 눈치 싸움이 핵심⏱️ 타이밍직구 대비 빠르게 반응해야 함변화구 중심이라 늦게 보고 판단해야 함🧠 멘탈“볼카운트 몰려도 한 방 있다”는 생각“공 하나하나가 덫”이라는 인식 필요👀 시야강한 직구 대비 → 공의 회전, 릴리스 포인트 주의변화구 궤적 파악 → 공이 빠지거나 떨어지는 위치 예측💣 실투 시실투도 공이 빠르니 실책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음실투 하나는 장타 확률 .. 2025. 4. 8. 투수 유형 중 구위형(power pitcher)과 피네스형(finesse pitcher)이란? 투수는 크게 구위형(power pitcher)과 피네스형(finesse pitcher)으로 나뉘는데, 이는 투수의 스타일과 전략, 즉 어떻게 타자를 상대하는가에 따라 구분됩니다. 각각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구위형 투수 (Power Pitcher)💡 정의강한 구속과 위력적인 구질로 타자를 힘으로 압도하는 투수입니다.🧱 특징특징요소설명🔥 구속빠른 공 위주 (직구 150km/h 이상이 흔함)🧠 전략삼진 유도가 주 목표. 타자와 정면 승부를 선호🎯 제구다소 불안정할 수 있음 (구위 믿고 스트라이크 존 안팎으로 공격)⚙️ 구종파워 있는 직구 + 슬라이더, 커브, 포크 등 ‘휘는’ 계열 보조⏱️ 투구 템포빠르고 공격적. 흔히 마운드 위에서 위압감이 느껴짐💥 장점 vs 단점장점 vs .. 2025. 4. 8. 이전 1 2 3 4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