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살타(併殺打, Double Play)란?
병살타(Double Play)는 야구에서 한 타석에서 두 명의 주자가 아웃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주로 타자가 친 공이 야수들에게 잡혀 2개의 아웃 카운트가 만들어지는 경우 발생합니다.
병살타는 주로 내야 땅볼을 통해 발생하며, 이는 투수에게 유리한 상황이 됩니다. 특히 주자가 1루에 있을 때 병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병살타가 나오는 주요 경우
1. 6-4-3 또는 4-6-3 병살 (유격수-2루수-1루수 / 2루수-유격수-1루수)
- 설명:
- 가장 일반적인 병살타 유형으로, 타자가 친 내야 땅볼이 유격수(6)나 2루수(4)에게 잡힌 후 2루를 거쳐 1루로 송구되어 두 명이 아웃됩니다.
- 6-4-3: 유격수(6) → 2루수(4) → 1루수(3)
- 4-6-3: 2루수(4) → 유격수(6) → 1루수(3)
- 조건:
- 1루에 주자가 있을 때 발생 가능
- 타자가 느린 주자일수록 병살 가능성이 높음
- 내야수들이 빠르게 공을 처리할 수 있을 때
2. 5-4-3 또는 3-6-3 병살 (3루수-2루수-1루수 / 1루수-유격수-1루수)
- 설명:
- 타자가 친 타구가 3루수(5)나 1루수(3)에게 잡혀서 2루로 송구한 후, 다시 1루로 연결되는 병살 플레이
- 5-4-3: 3루수(5) → 2루수(4) → 1루수(3)
- 3-6-3: 1루수(3) → 유격수(6) → 1루수(3)
- 조건:
- 1루에 주자가 있을 때 발생 가능
- 3루수나 1루수가 빠르게 송구해야 성립
3. 1-6-3 병살 (투수-유격수-1루수)
- 설명:
- 타구가 투수(1)에게 갔다가 유격수(6)를 거쳐 1루수(3)로 연결되는 경우
- 투수가 직접 공을 잡고 2루로 송구한 후 1루로 연결됨
- 조건:
- 투수가 재빠르게 반응해야 하며
- 타자가 느릴 경우 병살 확률이 높아짐
4. 플라이 아웃 후 주루사 (라이너 병살)
- 설명:
- 타자가 외야나 내야로 뜬공(플라이, 라이너)을 쳤을 때, 주자가 미리 뛰다가 귀루하지 못해 아웃되는 경우
- 예를 들어, 1루 주자가 스타트했다가 타자가 외야 뜬공으로 아웃되면, 수비수가 1루로 송구하여 주자가 돌아오기 전에 아웃시킬 수 있음
- 조건:
- 주자가 미리 스타트를 끊었을 경우 발생 가능
- 외야수나 내야수가 빠르게 송구해야 함
- 예시:
- 4-3 병살 (2루수 플라이 아웃 후 1루 주자 귀루 실패)
- 9-6 병살 (우익수 뜬공 후 2루 주자 귀루 실패, 유격수 태그 아웃)
5. 삼중살 (Triple Play)
- 설명:
- 병살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가 한 타석에서 3명이 아웃되는 희귀한 경우
- 보통 무사 1,2루 또는 만루 상황에서 내야 땅볼 병살 후, 추가 아웃이 나오는 식으로 발생
- 예시:
- 5-4-3 삼중살 (3루수-2루수-1루수)
- 라이너 삼중살 (타자가 친 라이너를 잡고 2루, 1루로 송구해 주자도 아웃)
병살타가 자주 나오는 상황
1. 주자가 1루에 있는 경우
- 1루 주자가 뛰지 않고 병살타가 나오면 2루와 1루에서 아웃이 쉽게 성립됨.
2. 느린 타자가 땅볼을 쳤을 때
- 발이 느린 타자(예: 포수, 1루수, 일부 거포 타자)가 병살 가능성이 높음.
3. 투수가 땅볼 유도 능력이 뛰어난 경우
- 땅볼 유도 능력이 좋은 싱커볼 투수일수록 병살 가능성이 커짐.
4. 주자가 스타트를 끊지 않았을 때
- 주자가 히트 앤드 런을 하지 않으면 병살 가능성이 높아짐.
병살타를 피하는 방법
- 빠른 주자는 적극적인 주루 플레이로 병살을 피할 수 있음.
- 히트 앤드 런 작전을 통해 주자가 미리 움직이면 병살 확률이 줄어듦.
- 강한 타구를 만들기 위해 뜬공을 노리는 전략도 가능함.
결론
병살타는 야구에서 수비 팀에게 유리한 중요한 플레이이며, 특히 주자가 1루에 있을 때 내야 땅볼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 됩니다. 반대로 공격 팀은 빠른 주루 플레이, 히트 앤드 런, 강한 타구로 병살을 피하는 전략을 사용해야 합니다.
'KBO 한국프로야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어 투 와이어(Wire-to-Wire) 우승이란? (1) | 2025.04.03 |
---|---|
인천 청라돔의 기대효과 (0) | 2025.04.03 |
한국프로야구(KBO리그) 각 구단 경기장의 특징 (0) | 2025.04.03 |
벤치클리어링이란? (0) | 2025.04.03 |
'KBO 수비상'의 선정 기준과 수비상 수상자들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