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BO 한국프로야구

야구에서 투수의 방어율(ERA, Earned Run Average) 계산 방법은?

by roknavy468 2025. 4. 1.

KBO 평균자책점

⚾ 야구에서 투수의 방어율(ERA, Earned Run Average) 계산 방법

방어율(ERA, Earned Run Average)은 투수가 9이닝(= 한 경기) 동안 평균적으로 몇 점을 허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투수의 실점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로 사용됩니다.


1. 방어율(ERA) 계산 공식

📌 공식:

ERA

🔹 자책점(ER, Earned Runs): 수비 실책 없이, 순수하게 투수의 책임으로 기록된 실점
🔹 투구 이닝(IP, Innings Pitched): 투수가 던진 이닝(⅓이닝 단위까지 포함)
🔹 9를 곱하는 이유: 9이닝을 기준으로 평균 점수를 구하기 위해


2. 방어율 계산 예제

📌 예제 1:
어떤 투수가 20이닝을 던져 5자책점을 기록했다고 가정하면,

ERA 예시1

즉, 이 투수의 방어율은 2.25입니다.

 

📌 예제 2 (⅓이닝 포함):
어떤 투수가 12⅔이닝(12.2이닝) 동안 7자책점을 기록했다면,

ERA 예시2

이 계산을 직접 해보겠습니다.

즉, 이 투수의 방어율(ERA)은 약 4.97입니다.


3. 방어율의 해석

  • 1점대 ERA리그 최정상급 투수 (에이스급)
  • 2점대 ERA매우 좋은 성적 (리그 평균보다 훨씬 뛰어남)
  • 3점대 ERA준수한 성적 (선발 투수의 평균적인 성적)
  • 4점대 ERA보통 수준 (선발 투수로서 조금 아쉬운 성적)
  • 5점대 이상 ERA부진한 성적 (투구 내용이 좋지 않음)

📌 참고:

  • 선발투수는 보통 3점대 ERA 이하를 목표로 함.
  • 불펜투수는 짧은 이닝을 던지므로, 시즌 초반 ERA 변동이 크지만, 3점대 ERA면 매우 좋은 성적으로 평가됨.

4. 방어율 관련 추가 정보

  • 비자책점(Unearned Run): 실책이나 폭투 등의 수비 실수로 인해 실점했을 경우, 투수의 방어율 계산에서 제외됨.
  • ERA+ (Adjusted ERA): 리그 평균과 구장 영향을 고려한 조정 방어율. 100이 평균이며, 120 이상이면 뛰어난 투수로 평가됨.
  • FIP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 수비의 영향을 배제하고, 순수한 투수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

⚾ 결론:
방어율(ERA)은 투수의 평균 실점 능력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지표로, 숫자가 낮을수록 더 뛰어난 투수로 평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