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BO 한국프로야구

야구에서 ‘스윕(Sweep)’과 ‘위닝 시리즈(Winning Series)’의 뜻은?

by roknavy468 2025. 4. 1.

스윕과 위닝시리즈가 많아야 1위를 할 수 있음

야구에서 ‘스윕(Sweep)’과 ‘위닝 시리즈(Winning Series)’의 의미

야구에서 ‘스윕(Sweep)’과 ‘위닝 시리즈(Winning Series)’는 한 팀이 여러 경기로 구성된 시리즈에서 얼마나 우세한 성적을 거뒀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1. 스윕(Sweep)

✅ 개념:

  • 한 팀이 상대 팀을 상대로 한 시리즈에서 모든 경기를 승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흔히 "싹쓸이 승리"라고도 하며, 상대 팀에게 단 1승도 허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 주로 3연전(3게임 시리즈) 또는 4연전(4게임 시리즈)에서 한 팀이 전승했을 때 사용됩니다.
  • "스윕당했다"는 표현은 반대로 시리즈에서 단 한 번도 이기지 못하고 전패를 당한 팀을 의미합니다.

✅ 예시:

📌 3연전 기준

  • LG 트윈스가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3경기 모두 승리하면 "LG가 두산을 스윕했다"라고 표현.
  • 반대로 두산은 "LG에게 스윕을 당했다"라고 표현.

📌 4연전 기준

  • 4연전에서 4승 0패로 끝내면 ‘4연전 스윕’이라고 함.

📌 포스트시즌에서의 스윕

  • 포스트시즌(PS)에서도 스윕이라는 개념이 존재함.
    • MLB 월드시리즈에서 한 팀이 4승 0패로 우승하면 "스윕 우승"이라고 함.
    • KBO 한국시리즈(KS)에서도 한 팀이 4승 0패로 우승하면 ‘스윕 우승’이라고 부름.

⚠️ 스윕을 당한 팀 입장에서는 멘탈이 흔들리고 팀 분위기가 급격히 나빠질 수 있음.


2. 위닝 시리즈(Winning Series)

✅ 개념:

  • 한 팀이 3연전 또는 4연전 같은 ‘시리즈’에서 상대보다 더 많은 승리를 거두는 것을 의미.
  • "시리즈에서 승리했다"는 뜻으로, 반드시 모든 경기를 이길 필요는 없음.
  • 보통 2승 1패(3연전) 또는 3승 1패(4연전)와 같은 성적을 기록하면 위닝 시리즈가 됨.
  • 장기적인 페넌트레이스(정규 시즌)에서는 꾸준히 위닝 시리즈를 기록하는 것이 강팀의 필수 조건으로 여겨짐.

✅ 예시:

📌 3연전 기준

  • 롯데 자이언츠가 삼성 라이온즈와의 3연전에서 **2승 1패를 기록하면 ‘위닝 시리즈’**를 달성한 것.
  • 반대로 삼성은 ‘루징 시리즈’(1승 2패)를 기록하게 됨.

📌 4연전 기준

  • SSG 랜더스가 NC 다이노스를 상대로 3승 1패를 거두면 위닝 시리즈를 기록한 것.
  • 반대로 NC는 1승 3패로 루징 시리즈를 기록함.

⚠️ 반드시 ‘전승’할 필요는 없고, 단순히 더 많은 승리를 거두면 위닝 시리즈로 인정됨.


3. 스윕과 위닝 시리즈 비교

구분 의미 예시 (3연전) 예시 (4연전)

스윕과 위닝 시리즈 비교

구분 의미 예시 (3연전) 예시 (4연전)
스윕 모든 경기에서 승리 3승 0패 4승 0패
위닝 시리즈 시리즈에서 더 많은 승리 2승 1패 3승 1패

 

📌 스윕이 위닝 시리즈보다 더 극적인 결과이며, 위닝 시리즈는 페넌트레이스에서 꾸준한 승리를 쌓기 위한 기본 전략이라고 볼 수 있음.


결론

  • 스윕(Sweep): 시리즈에서 한 팀이 모든 경기를 승리하는 것 (완벽한 승리)
  • 위닝 시리즈(Winning Series): 시리즈에서 더 많은 경기를 승리하는 것 (전승이 아니어도 됨)
  • 강팀이 되기 위해서는 위닝 시리즈를 꾸준히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스윕을 많이 할수록 압도적인 전력을 가진 팀으로 평가됨.

즉, ‘스윕’은 ‘완벽한 지배’, ‘위닝 시리즈’는 ‘꾸준한 우위’를 의미하는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