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BO 한국프로야구

프로야구에서 2차 드래프트란?

by roknavy468 2025. 4. 4.

2차 드래프트

한국프로야구(KBO)에서 시행하는 2차 드래프트는 각 구단의 전력 균형을 맞추고, 소속 팀에서 출전 기회를 얻지 못한 선수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2011년에 도입되어 격년제로 시행되고 있으며, 2025년에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1. 2차 드래프트의 정의와 목적

  • 정의: 정규 시즌 종료 후, 각 구단이 보호 선수 명단에서 제외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다른 구단이 지명하여 영입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 목적:
    • 전력 균형: 강팀과 약팀 간의 전력 차이를 줄여 리그의 경쟁력을 높입니다.
    • 선수 기회 확대: 소속 팀에서 충분한 출전 기회를 얻지 못한 선수들에게 새로운 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선수단 효율적 운영: 각 구단이 보유한 선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필요한 포지션을 보강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2025년 2차 드래프트의 주요 변경 사항

2025년 2차 드래프트에서는 선수 보호와 관련하여 몇 가지 중요한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습니다:

  • 자동 보호 선수 범위 확대:
    • 기존에는 입단 1~3년 차 선수, 육성선수, 군 보류 선수 등이 자동 보호 대상이었으나, 2025년부터는 입단 4년 차 소속 및 육성선수 중 군 보류 또는 육성군 보류 이력이 있는 선수도 자동 보호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이는 군 복무로 인해 충분한 육성 기회를 갖지 못한 선수들을 추가로 보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의무 등록 규정의 예외 사항 확대:
    • 2차 드래프트로 영입한 선수는 일정 기간 1군 엔트리에 의무적으로 등록해야 하는 규정이 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부상자 명단뿐만 아니라, 치료·재활 선수 명단에 30일 이상 등재된 경우에도 의무 등록 기간의 예외로 인정됩니다. 
  • 선수 양도 제한 완화:
    • 기존에는 2차 드래프트로 획득한 선수를 1년간 타 구단에 양도할 수 없었으나, 2025년부터는 의무 등록을 충족한 선수나 3라운드 이하에서 지명된 선수는 1년 이내에도 타 구단에 양도할 수 있도록 규정이 완화되었습니다. 

3. 2차 드래프트가 각 팀에 미치는 영향

  • 구단 입장:
    • 전력 보강: 필요한 포지션의 선수를 영입하여 팀 전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선수단 정리: 보호 명단에서 제외된 선수들을 다른 구단에 보내면서 선수단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재정적 고려: 지명된 선수에 대한 보상금 등을 통해 재정적인 이득을 얻거나, 연봉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선수 입장:
    • 출전 기회 확대: 새로운 팀에서 더 많은 출전 기회를 얻어 자신의 기량을 펼칠 수 있습니다.
    • 경력 발전: 환경 변화로 인해 새로운 동기 부여와 함께 선수 경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 팬들의 반응:
    • 관심 증대: 선수 이동으로 인한 팀 전력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이는 리그 흥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응원 선수 이적에 대한 아쉬움: 기존에 응원하던 선수가 다른 팀으로 이적하는 것에 대한 아쉬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결론

2025년 KBO 2차 드래프트는 선수 보호 범위 확대, 의무 등록 규정의 예외 사항 확대, 선수 양도 제한 완화 등으로 제도가 일부 개정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선수들의 육성 기회를 보장하고, 구단의 전력 강화를 보다 유연하게 하기 위한 목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