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에서 완투, 완봉, 노히트노런, 퍼펙트게임 상세 설명
야구에서 투수의 활약을 평가할 때 중요한 기록 중 **완투(CGP), 완봉(SHO), 노히트노런(NOH), 퍼펙트게임(PG)**이 있습니다. 각각의 개념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완투 (Complete Game, CGP)
완투(완전투구)란, 선발 투수가 경기 시작부터 끝까지 한 명의 구원 투수도 없이 전 이닝을 던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 완투의 조건
- 선발 투수가 9이닝(연장전 포함 시 추가 이닝까지) 동안 교체 없이 던지는 것.
- 승패와 관계없이 한 경기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투구하면 완투로 인정됨.
- 상대 팀이 많은 점수를 내더라도 교체 없이 끝까지 던지면 완투가 됨.
✅ 완투의 특징
- 과거(1970~1980년대)에는 완투가 흔했지만, 현재는 투구 수 관리와 불펜(구원 투수) 운영이 발달하면서 완투를 하는 경우가 줄어듦.
- MLB에서는 평균적으로 선발 투수가 6~7이닝 정도를 던지고 교체됨.
- 완투승 (Complete Game Win, CGW): 완투하면서 승리한 경우.
- 완투패 (Complete Game Loss, CGL): 완투했지만 패전투수가 된 경우.
✅ 완투 기록 예시
- Nolan Ryan (MLB 전설적 투수, 222회 완투)
- 선동열 (KBO, 완투 능력이 뛰어난 투수로 유명함)
2. 완봉 (Shutout, SHO)
완봉(完封, Shutout)이란, 완투하면서 상대 팀에게 단 한 점도 내주지 않고 경기를 마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완봉의 조건
- 선발 투수가 교체 없이 9이닝을 던지고 상대 팀을 0점으로 막아야 함.
- 만약 경기 중간에 교체되면 완봉 기록이 인정되지 않음.
- 연장전이 있을 경우, 연장 이닝까지 무실점으로 던지고 경기를 마치면 완봉으로 인정됨.
✅ 완봉의 특징
- 완투보다 더 어려운 기록이며, 투수의 압도적인 경기력이 필요함.
- 9이닝을 던지는 동안 무실점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제구력, 구위, 체력 등이 뛰어나야 함.
- 완봉승(Shutout Win, SHO-W): 완봉을 기록하면서 승리한 경우.
✅ 완봉 기록 예시
- 랜디 존슨 (MLB 통산 37완봉)
- 김광현 (KBO 대표적인 완봉 능력 보유 투수)
3. 노히트노런 (No-Hitter, No-Hit No-Run, NOH)
노히트노런(No-Hitter, No-Hit No-Run)이란, 상대 팀에게 단 하나의 안타도 허용하지 않고 경기를 끝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 노히트노런의 조건
- 9이닝 이상 던지면서 상대 타자에게 단 하나의 안타도 허용하지 않아야 함.
- 하지만 볼넷, 사구(몸에 맞는 공), 실책 등으로 출루를 허용해도 괜찮음.
- 점수를 주지 않아야 할 필요는 없음. 즉, 무실점이 아니어도 기록됨.
- 예를 들어, 볼넷과 수비 실책으로 실점해도 상대 팀이 안타를 치지 않았다면 노히트노런으로 인정됨.
✅ 노히트노런의 특징
- 매우 희귀한 기록이며, 강력한 구위와 완벽한 투구 운영이 필요함.
- 완봉과는 다른 개념이며, 노히트노런을 달성하면서 완봉할 경우 "노히트노런 완봉"으로 부르기도 함.
- 상대 팀의 실책이나 볼넷으로 인해 점수를 주더라도 노히트노런이 성립할 수 있음.
✅ 노히트노런 기록 예시
- 노란 라이언 (MLB 최다 7회 노히트노런 기록)
- 류현진 (MLB 다저스 시절, 2019년 7⅓이닝 동안 노히트 피칭 진행)
- 2014년 KBO NC 다이노스 찰리 쉬렉 – KBO 최초 노히트노런 달성
4. 퍼펙트게임 (Perfect Game, PG)
퍼펙트게임(Perfect Game, PG)이란, 단 한 명의 타자도 출루시키지 않고 경기를 끝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 퍼펙트게임의 조건
- 투수가 9이닝을 던지는 동안 27명의 타자를 모두 아웃으로 처리해야 함.
- 안타, 볼넷, 사구, 실책, 인터페어런스(수비 방해) 등 모든 출루를 허용하면 안 됨.
- 즉, 상대 팀의 어떤 타자도 1루조차 밟지 못해야 함.
✅ 퍼펙트게임의 특징
- 야구에서 가장 어려운 기록 중 하나로 꼽힘.
- 단순히 노히트노런보다 훨씬 더 어려운 기록이며, 완벽한 제구력과 강한 구위가 필수.
- 상대 팀의 타격 능력뿐만 아니라, 수비진의 실책 없이 완벽한 플레이가 뒷받침되어야 함.
✅ 퍼펙트게임 기록 예시
- MLB 역사상 단 23회만 달성됨 (2023년 기준)
- MLB 대표적인 퍼펙트게임 투수들
- 랜디 존슨 (2004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펠릭스 에르난데스 (2012년, 시애틀 매리너스)
- KBO에서는 아직 퍼펙트게임이 나오지 않음.
5. 비교 정리 표
기록 정의 안타 허용 볼넷/사구 허용 실책 허용 실점 허용 출루 허용
완투 (CGP) | 9이닝 이상 혼자 던짐 | O | O | O | O | O |
완봉 (SHO) | 9이닝 이상 던지며 무실점 | O | O | O | X | O |
노히트노런 (NOH) | 9이닝 이상 안타 허용 없음 | X | O | O | O | O |
퍼펙트게임 (PG) | 9이닝 이상 단 한 명도 출루 허용 없음 | X | X | X | X | X |
6. 결론
- 완투는 경기 전체를 혼자 던지는 것.
- 완봉은 완투하면서 상대에게 점수를 주지 않는 것.
- 노히트노런은 안타를 허용하지 않는 것(출루는 가능).
- 퍼펙트게임은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것(야구에서 가장 어려운 기록).
각각의 기록은 투수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경기의 흐름을 완전히 지배했음을 나타냅니다. ⚾🔥
'KBO 한국프로야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자의 클래식 스탯(Classic Stats) 이란? (0) | 2025.03.26 |
---|---|
홀드(Hold)와 세이브(Save)의 기록 달성 조건 (1) | 2025.03.26 |
프로야구에서 스트라이크 낫아웃(Strikeout Not Out) 이란? (0) | 2025.03.26 |
투수와 타자의 수싸움 (0) | 2025.03.26 |
타자들의 발사각과 타구 속도의 상관관계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