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BO 한국프로야구

홀드(Hold)와 세이브(Save)의 기록 달성 조건

by roknavy468 2025. 3. 26.

투수가 마운드에서 공을 던지는 장면

홀드(Hold)와 세이브(Save) 기록 달성 조건 상세 설명

야구에서 불펜 투수(구원 투수)의 역할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홀드(HLD)와 세이브(SV)가 있습니다.
각각의 개념과 기록 달성 조건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홀드(Hold, HLD)란?

홀드(Hold, HLD)란, 구원 투수가 리드를 유지한 채 팀의 승리에 기여했지만, 승리 투수가 되지는 않은 경우에 주어지는 기록입니다.
주로 중간 계투(Setup Man, 셋업맨) 투수들이 많이 기록합니다.

홀드의 달성 조건

홀드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다음 4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구원 투수로 등판해야 함

  • 선발 투수는 홀드 기록이 불가능. 반드시 불펜 투수여야 함.

2️⃣ 팀이 리드하고 있는 상황에서 등판해야 함

  • 팀이 앞서 있는 상태에서 구원 등판해야 함. (무승부 또는 지고 있을 때 등판하면 홀드 없음)

3️⃣ 리드를 지킨 채 최소한 한 타자를 상대하고 교체되어야 함

  • 등판 후 최소한 한 명의 타자를 상대해야 하며, 실점 여부와 관계없이 팀이 여전히 리드하고 있어야 함.
  • 투수가 실점했더라도 팀이 여전히 리드하고 있으면 홀드 인정.

4️⃣ 세이브 상황에서 교체되거나 경기 종료 전에 내려와야 함

  • 경기에서 끝까지 던지면 세이브 또는 승리를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경기 종료 전 교체되어야 홀드가 인정됨.

홀드 예시

  • 7회에 3-1로 앞서 있는 상황에서 구원 투수가 등판해 한 이닝을 던지고 실점 없이 3-1 리드를 유지한 후 교체됨.
    → 홀드 기록됨.
  • 8회에 5-3으로 앞선 상황에서 등판했으나 1실점(5-4)이 나고 교체됨.
    → 리드를 유지했으므로 홀드 기록됨.
  • 7회에 등판했지만 상대 팀에게 동점(3-3)을 허용하고 교체됨.
    → 리드를 유지하지 못했으므로 홀드 없음.

2. 세이브(Save, SV)란?

세이브(Save, SV)란, 마무리 투수가 팀의 승리를 확정 짓는 상황에서 등판하여 팀의 리드를 지키고 승리를 기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마무리 투수(Closer)가 세이브를 기록합니다.

세이브의 달성 조건

세이브를 기록하려면 다음 3가지 중 하나를 만족해야 합니다.

1️⃣ 마지막 투수로 등판해서 3이닝 이상 던지고 승리를 지켜야 함

  • 점수 차이와 상관없이 최종 투수로 등판하여 3이닝 이상 던지고 리드를 유지한 채 경기를 끝내면 세이브 인정.
  • 큰 점수 차이(예: 10점 차)에서도 적용 가능.

2️⃣ 팀이 3점 차 이내로 앞선 상황에서 마지막 이닝(보통 9회)에 등판해 승리를 지켜야 함

  • 9회에 팀이 3점 차 이내로 앞선 상태에서 등판하여 리드를 유지하고 경기를 끝내면 세이브 인정.
  • 투수가 아웃카운트 3개(1이닝)를 책임져야 함.
  • 점수를 주더라도 팀이 이기면 세이브 유지됨.

3️⃣ 동점 또는 역전 위기 상황에서 등판하여 최소 1이닝 이상 던지고 팀의 승리를 지켜야 함

  • 8회에 팀이 한 점 차로 앞선 상황에서 등판하여 1이닝 이상 던지고, 9회에도 마무리하여 승리를 지키면 세이브 인정.
  • 득점권(주자 2루 또는 3루)에서 등판하여 위기를 넘기고, 이후 팀이 승리하면 세이브 기록됨.

세이브 예시

  • 9회 초, 팀이 4-3으로 앞선 상황에서 구원 등판 → 실점 없이 마무리
    → 세이브 기록됨.
  • 9회 초, 팀이 7-3으로 앞선 상황에서 등판 → 1실점 후 7-4로 경기 종료
    → 세이브 기록됨 (3점 차 이내 유지).
  • 7회 2사, 5-4로 앞선 상황에서 등판해 8회, 9회까지 무실점으로 마무리
    → 3이닝 이상 던졌으므로 세이브 기록됨.

3. 홀드와 세이브의 차이점 비교

구분 홀드 (HLD) 세이브 (SV)

투수 유형 주로 셋업맨 (Setup Man) 주로 마무리 투수 (Closer)
등판 시점 주로 6~8회에 등판 주로 9회에 등판
등판 조건 팀이 앞선 상황에서 등판해 리드를 유지해야 함 3점 차 이내 리드 유지 또는 3이닝 이상 던지며 승리해야 함
이닝 제한 1타자 이상 상대하면 인정됨 보통 1이닝 이상 던져야 함 (단, 3이닝 던질 경우 점수 차 무관)
리드를 잃으면? 리드를 지키지 못하면 홀드 없음 리드를 잃으면 블론세이브(BS) 기록됨
경기 종료 여부 경기 종료 전 교체됨 경기 종료까지 던져야 함

4. 블론세이브(Blown Save, BS)란?

블론세이브(Blown Save, BS)란, 세이브 상황에서 등판한 투수가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동점을 허용하거나 역전을 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마무리 투수들이 기록하는데, 블론세이브는 실점 여부와 관계없이 리드를 지키지 못하면 기록됩니다.

블론세이브 예시

  • 9회 초, 팀이 4-3으로 앞선 상황에서 등판했으나 홈런을 맞고 4-4 동점
    → 블론세이브(BS) 기록됨.
  • 9회 초, 5-3으로 앞선 상황에서 등판했으나 2실점(5-5 동점) 후 연장전 돌입
    → 블론세이브(BS) 기록됨.
  • 9회 초, 팀이 3-1로 앞선 상황에서 등판했으나 1실점 후 3-2에서 교체됨
    → 리드를 유지했으므로 블론세이브 없음.

5. 결론

  • 홀드(HLD): 셋업맨(중간 계투)이 팀이 앞선 상태에서 등판하여 리드를 유지하고 교체될 경우 기록.
  • 세이브(SV): 마무리 투수가 승리를 지키고 마지막까지 던지며 경기를 마무리할 경우 기록.
  • 블론세이브(BS): 세이브 상황에서 등판했으나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동점 또는 역전당할 경우 기록.

이러한 기록들은 구원 투수들의 경기 기여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특히 마무리 투수와 셋업맨들의 활약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